블로그 이미지
황상두

카테고리

기타 (101)
알고리즘(백준) (3)
임베디드 보안 (7)
windows internal (22)
공부 (16)
전공 스터디 (27)
과제 (8)
영어 (6)
기록물 (6)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5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공지사항

태그목록

최근에 올라온 글

https://translate.google.co.kr/translate?sl=en&tl=ko&js=y&prev=_t&hl=ko&ie=UTF-8&u=http%3A%2F%2Fshell-storm.org%2Fblog%2FIn-Memory-fuzzing-with-Pin%2F&edit-text=&act=url - 메모리 퍼징

https://ko.wikipedia.org/wiki/%EC%84%B8%EA%B7%B8%EB%A9%98%ED%85%8C%EC%9D%B4%EC%85%98_%EC%98%A4%EB%A5%98 - SIGSEGV


Google 번역.html


SIGSEGV는 세그먼트 오류로서 메모리 접근을 해서는 안되는 곳에 했거나 허용되지않은 방식으로 메모리에 접근했을 때 발생한다.

세그먼트 오류의 신호를 인터셉트하여 콜백함수를 등록하고 그 콜백함수는 현재 컨텍스트를 출력한다.



위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pintool의 함수를 이용하여 컨텍스트를 저장하고 후단부 중단점(breakpoint)에서 다시 뒤로 돌아가게끔 코드를 작성한다. 그리고 되돌아갈때 세그먼트오류가 발생하고 이 신호를 캐치하여 다양한 입력값을 대입하여 취약점분석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이 메모리 인 퍼징 기법이라고 보면 된다.


사용하는 함수는 파일을 보면 알겠지만




pin_InterceptSiginal

pin_SaveContext()

pin_Excute_At()

INS_MemoryOperandsIsWritten()'    함수를 사용하여 실행한다,

'공부 > 정보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샌드박스 및 LSTM  (0) 2017.06.04
보안 뉴스 정리  (0) 2017.06.02
Z3  (0) 2017.02.26
processTracer  (0) 2017.01.10
pintool이란?  (0) 2017.01.10
Posted by 황상두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