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여전히 많은 일자리가 존재하는가?
현 사회는 인공지능으로 일자리감소에대한 문제를 생각하고 있다. 실제로 로봇세를 도입하려 하고 있다. 인간에게 소득세를 부가하듯 로봇에게 로봇세를 부가해야한다는 것이다. 웃기게도 자동화에 엄청난 기여를 한 빌게이츠가 주장했다.
그러나 과연 일자리가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이나 줄어들까?
우리가 지금 하고 있는 고민을 선조들도 똑같이 하였다.
과거 기계의 발전으로 젊은 농부들이 필요가 없어졌고 대량실업으로 이어진다. 농업에서의 일자리가 40프로를 담당하였는데 단 2프로로 줄어들게 된다.쉽게 말해서 원래 일자리가 100개였는데 5개로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그 정도로 노동인구가 필요없어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배경 속에서 현 교육시스템이 탄생한다. 여기서 시스템이란 19살(한국) , 미국(16살)까지 취업을 하지않고 고등교육을 거의 의무적으로 이수하는 시스템을 뜻한다. 농업사회에서는 젊은 사람들(청년층)이 많이 필요했고 그에따라 어린 나이부터 일을 시작하였는데... 기계화가 되면서 학교의 개념이 생긴 것이다.
위 예시를 통해서 대량 실업 속에서도 그 상황에 맞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인간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인공지능이 인간이 하는 일을 대체한다 할지라도 우리 인간은 항상 불만을 가지고 있기에 또 다른 일자리를 만들어 낼 것이다.
지금의 산업구조를 보면 알 수 있다. 제조업의 비중이 높았던 과거와 달리 서비스업의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기계화를 통해 물질적인 풍요를 이루어냈고 이제는 기술적인 풍요(서비스)에 관심이 더 높아진 것이다.
과거보다 현재는 우뇌형 인간 즉, 창조성 , 천재성을 중시한다. 물질적 풍요보다 기술적 풍요를 중시하는 사회가 된 것이다.
한계점
대신 일자리의 양극화문제가 발생한다. 고등교육을 받은 이들은 간호사 , 엔지니어 , 의사 , 변호사 등등 고소득 직종을 가지게되고 많은 부분이 기계화가 되면서 중산층고용률이 낮아지게 된다. 그리하여 양극화 현상이 일어나고 현 사회문제로서 남아있게 된다.
옛날에는 다 같이 조금씩 못 살았다면 지금은 양극화가 있는 것이다.
앞으로 사회는 점점 더 기술적인 부분에 대하여 관심을 갖게 될 것이다. 지금 어플리케이션 첨단기술에 관심을 가지듯 물질적풍요보다 기술적 풍요에 더 관심을 기울이며 이는 창의적 인재가 미래사회 인재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는 뜻이다.
'영어 > T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는 giver인가 taker인가 (0) | 2017.04.08 |
---|---|
데이터로 기아를 살릴 수 있습니다. (0) | 2017.04.07 |
파나마 페이퍼 (0) | 2017.04.06 |
기술은 인간의 사랑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없다 (0) | 2017.04.06 |
새로운 인터페이스 시장 (0) | 2017.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