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황상두

카테고리

기타 (101)
알고리즘(백준) (3)
임베디드 보안 (7)
windows internal (22)
공부 (16)
전공 스터디 (27)
과제 (8)
영어 (6)
기록물 (6)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1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공지사항

태그목록

최근에 올라온 글

세션하이재킹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emonicws&logNo=40110981534




보안은 경영자들한테 우선순위에 밀려있다.

빠른 출시냐 안전한 출시냐 선택의 문제에서 대부분 빠른 출시에 신경을 쓴다.

출시하고 취약점이 발견된다면 그것을 되돌리기란 정말 어렵다.
삼성의 갤럭시 사건만 봐도 출시이후 문제점발생이 얼마나 치명적인지 알 수 있다.
이미지 , 경제적 손실 등등 엄청나다

그렇기에 안전한 출시에도 신경써야 한다.

보안이 걸림돌이란 생각을 넘어 하나의 고유 독립적 특성으로서 여겨져야 한다.
사물인터넷 시대 , 보안을 무시할 수 없는 시대가 올 것이다.






멀티 클라우드 시대는 ‘애플리케이션 보안’, 위협 첩보는 ‘데이터 분석력’


어플리케이션 = 데이터가 들어가는데 꼭 거쳐야 하는 곳

과거에는  어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 내에 두었지만

현재는 바깥에 둔다.

즉 어플리케이션의 보호가 이루어져 있지 않기에 어플리케이션 보안에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

클라우드는 거스를 수 없는 트렌드이며 점점 더 비중이 커질 것이다. 



아무리 첩보를 공유한다 할지라도 취약점을 공유한다고 할지라도

단편적인 정보로서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그렇기에

데이터를 분석할 줄 알아야한다.




>> 허니넷 , 허니팟

http://copycode.tistory.com/75


>> 핑거 프린팅

https://www.copyright.or.kr/information-materials/dictionary/view.do?glossaryNo=868&pageIndex=73&searchLangType=&searchkeyword=&pageDisplaySize=10&searchIdx=&searchText=&clscode=01&searchTarget=


>> 양자암호학이란?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qxd8&articleno=284&categoryId=20&regdt=20160104154849

>>파밍 VS 피싱 차이

http://www.ahnlab.com/kr/site/securityinfo/secunews/secuNewsView.do?seq=20624


>> 이더리움 개론

ethereum_intro.pdf


>>스마트 계약

https://medium.com/@soonhyungjung/%EC%9D%B4%EB%8D%94%EB%A6%AC%EC%9B%80-%EC%8A%A4%EB%A7%88%ED%8A%B8-%EA%B3%84%EC%95%BD-2-%EA%B0%9C%EB%85%90-fbdb597ad60b


>> 워너크라이 정리

https://www.youtube.com/watch?v=rebecmJtTQo


>>의사결정이론

http://blog.acronym.co.kr/431

>> 머신러닝

http://sanghyukchun.github.io/74/


>> proof of work 

https://www.slideshare.net/skimaza/ss-57356762


>> kmaens 알고리즘

http://knight76.tistory.com/entry/R-kmean%EC%95%8C%EA%B3%A0%EB%A6%AC%EC%A6%98


>> ML와 MAP

http://darkpgmr.tistory.com/62







블록체인 기술은 IOT와 결합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많은 노드들은 보안성을 강화시킨다. (특히 무결성)


**스마트 계약**

http://www.boannews.com/media/list.asp?kind=6

돈을 지불하면 자동으로 권한을 부여한다. 

부동산 계약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정리 영상

https://www.youtube.com/ 











버그 바운티 (신고포상제)


미래부와 국정원의 정보공유를 통한 시너지효과


민간뿐만아니라 국가에서도 정보보안분야에 개입해서 해결하는데 도움을 줘야한다.


킬 스위치  : 스마트폰을 잃어버렸을 떄 원격으로 사용을 불가능토록 하기위해 만들어진 기능


워너크라이 랜섬웨어 : 인터넷 익스플러 및 Flash의 취약점을 활용

페이지 접속 시 자동으로 다운로드 받도록 동작 , 요새는 광고배너를 많이 이용하기도 한다.


공개키 암호화 방식

복호화를 위한 파일을 서버로 전송할 것인가? 어디에 숨길 것인가?


워너크라이 --> 8천만원 이익

비트코인으로  이익을 챙긴다.

비트코인은 추적이 어렵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





어플리케이션 백엔드의 보안에도 신경써야 한다.

비관계형 관계형 DB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55058



 남에게 피해를 입히기 위해 개발된 소프트웨어 = 멀웨어 (악성소프트웨어)

최근 구글에서 사상 최악의 멀웨어가 나왔다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55012&skind=O


원인






이번 워너크라이는 전역적으로 퍼졌지만 이익이 적었다는 점은 수상하다. 


비트코인의 가치를 상승시키기위해서 워너크라이 랜섬웨어를 퍼뜨렸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과연 이 말은 사실일까/? 실제로 이더리움과 비트코인의 가치는 엄청나게 상승하고 있다.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55031&skind=O




'공부 > 정보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샌드박스 및 LSTM  (0) 2017.06.04
메모리 인 퍼징  (0) 2017.03.10
Z3  (0) 2017.02.26
processTracer  (0) 2017.01.10
pintool이란?  (0) 2017.01.10
Posted by 황상두
, |


Matlab170601.zip


17최지웅





17전민재





17조제현


17안장훈



17지정훈






Posted by 황상두
, |

대한민국 4명 중 1명이 거주하는 그 곳 바로 서울이다.

모든 것이 서울중심이다.

인 서울 대학 열풍

서울의 집값만 봐도 쉽게 알 수 있는 사실이다.


서울에서 유행하는 것이 전국에서 유행하고 서울이 발전하면 나라가 발전한다.

서울이 있기에 경기도가 있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대한민국은 서울중심이고 서울이 곧 한국의 정체성을 표현할지도 모르겠다.


우리나라는 IMF이후 경제적 불평등을 겪게 된다.

원인은 경제에 무지해서 잘 모르겠다.

원래 순리대로 된 것인지 정말 IMF때문인지 정책의 실패인지 모른다.

어쨌든 결과적으로 대한민국의 경제는 과거에 비해 심리적지표로라도 분명 안 좋아졌다.

이는 서울에도 그대로 드러난다.

끊임없이 오르는 부동산가격

그리고 사교육 열풍




어떻게 하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현재 문재인정부가 출범하고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공무원채용을 추가로 하고 베이붐세대의 은퇴가 본격화되면서 2030세대의 희망이 되고있다. 그것도 작게나마

우리나라는 과연 어떻게 될 것인가..?

정말 공무원을 채용한다고 해서 나라 경제가 성장할까.. 

그건 아무도 모른다. 노무현 정부가 실패한 것을 보면 

정치 , 정책이라는 것이 생각대로 되는 것은 아니니까



이렇게 보니 정말 서울이 곧 한국 정체성을 대표한다는 말이 맞는 말 같다.

뉴스에서 보던 한국의 모든 문제를 서울은 정확히 대표해서 보여주고 있으니 말이다.



이 책은 좀 어렵게 쓰였다. 교수가 써서 그런지 모르겠다.

그러나 재미있다. 서울을 아무렇지 않다는 듯이 묘사하며 서울의 문제점을 여실히 보여준다,

자본주의가 공산주의를 이겼지만 부작용도 분명히 존재한다.

성장을 위해 경쟁은 중요하다.

너무 치열한 경쟁은 모두를 불행하게 만들 뿐이다.


우리나라가 극심한 경쟁에서 벗어나 모두 잘 사는 그 날이 오기를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빌어본다.


http://book.daum.net/detail/book.do?bookid=BOK00024316858YE

'기록물 > 독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 한국 경제 전망  (0) 2017.05.01
그 바람의 행적  (0) 2017.03.23
보통의 존재  (0) 2017.02.15
Posted by 황상두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