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황상두

카테고리

기타 (101)
알고리즘(백준) (3)
임베디드 보안 (7)
windows internal (22)
공부 (16)
전공 스터디 (27)
과제 (8)
영어 (6)
기록물 (6)
Total
Today
Yesterday

달력

« » 2025.1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공지사항

태그목록

최근에 올라온 글

glLineWidth가 안되는 이유




//glLineWidth(2.0);

//glPointSize(6.0);

for (int i = 0; i < cnt; i++)

{

glBindTexture(GL_TEXTURE_2D, gSphereColor[i]->object());

/*

glBindVertexArray(gVSO[1]);

glDrawArrays(GL_LINE_LOOP, 0, 9999);

*/

glBindVertexArray(gVSO[i]);

glDrawArrays(GL_LINE_LOOP, 0, 9999);

}






어떻게하면 컴퓨터그래픽스로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을까?




'과제 > opengl'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gl text out  (0) 2017.06.14
buffer함수 비우기  (0) 2017.06.13
회전함수 구현  (0) 2017.06.11
연관된 구끼리 서로 연결하기!  (0) 2017.06.11
컴퓨터 그래픽스 프로젝트  (0) 2017.06.08
Posted by 황상두
, |











GLM_FORCE_RADIANS 오류 (?) 해결방법

#define GLM_FORCE_RADIANS 텍스트를 3차원으로 나타내는 방법

무슨 오류인지 정확히 모르겠지만 GLM 경로를 찾지 못한다고 나온다.

해결방법은 전처리기로 미리 정의 해주는 방법 밖에 없다.


디버깅을 해봐도 그림파일 로드할 떄 오류난다는 것이외의 정확한 원인을 찾기 쉽지 않다.




opengl로 텍스트 출력하기

opengl에서 라이브러리를 직접 제공해주지 않는다.
따라서 폰트와 텍스트를 직접 지정하고 비트맵으로 변환해야만 한다.
WinApi로 하지 못한다.





파일 입출


 #include <stdio.h>

int main()

{

FILE *f;

f=fopen("a.txt",rt");

fprintf(f,"Hello World");

fclose(f);

}


text 파일을 읽어 들일 것이므로 = read + text = rt


http://desire-with-passion.tistory.com/169  파일입출력 기본개념 모두 정리!



텍스쳐 바인딩 작업

http://m.blog.daum.net/aero2k/84




texture 맵핑을 하기위해서 glfw에서는 glBindVertexArray를 활용해야만 한다,





Texture 속성 지정


texture를 작업하기 전 속성을 지정해줘야한다.

glfw는 glut와 조금 다른다.

void glVertexAttribPointer(GLuint index,

   	GLint size,
GLenum type,
GLboolean normalized,
GLsizei stride,
const GLvoid * pointer);

index : Vertex shader의 layout(location=x)에서 x에 해당한다.

size : Vertex Attrib를 구성하는 멤버의 개수. 가령, Vertex position 속성이라면 x,y,z,w로 구성된다면 4, x,y,z로 구성된다면 3.
그러므로, 1,2,3,4 값만 가능.

type : Vertext Attribㄹ 구성하는 멤버의 타입. Vertex position이 float로 구성된다면, GL_FLOAT. 그 외에도 다양한 타입이 존재.

normalized : 타입이 GL_FLOAT나 GL_HALF_FLOAT가 아닐 경우, unsigned 경우 0..1, signed일 경우 -1..1의 float로 변경하여 vertex shader에 값을 전달한다.

stride : pointer가 가리키는 배열에서 다음 구성요소까의 byte수.
가령, Vertex position x,y,z,w의 배열이고, 타입이 float라면 4(x,y,z,w)*4(float의 size) = 16이됨.
Vertex position x,y,z의 배열이고, 타입이 float라면 3(x,y,z)*4(float의 size) = 12임.

pointer : Vertex attrib의 배열 주소.



출처: http://gopen.tistory.com/8 




구의  방정식

데카르트 좌표계에서는 중심 (abc)이고 반지름이 r인 구를

라는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두 개의 매개변수 θ ∈ [0, 2π]φ ∈ [0, π]를 이용하여



glfw란?


games for window live(X)

* opengl의 라이브러리의 일종

OpenGL은 DirectX와 달리 멀티플랫폼을 지원하며 오픈소스이다.

그렇기 때문애 OpenGL을 쉽게 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라이브러리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GLUT, GLFW, SDL이 있다.

[출처] 1. GLFW|작성자 OnionLee



0. GLEW란?

GLEW는 The OpenGL Extension Wrangler Library의 준말로, 크로스 플랫폼 오픈소스 C/C++ 확장 라이브러리입니다.  GLEW는 OpenGL의 새로운 기능을 제공하는 하나의 헤더파일입니다. OpenGL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지 않는 기능들을 제공하기 때문에 모든 컴퓨터에서 잘 작동한다는 보장은 없지만 상당히 유용한 기능들을 제공합니다. 웹페이지의 설명에 따르면 GLEW는 Windows, Linux, Mac OS X, FreeBSD, Irix 및 Solaris 등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테스트되었다고 합니다.



- 왜 사용하는가?(***)

OpenGL은 하나의 라이브러리가 아니기 때문에 프로젝트에 간단하게 연결할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GLEW 같은 라이브러리의 도움을 받습니다. glew.h와 같은 헤더파일만 include 하면 OpenGL의 기능들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출처: http://justdoitproject.tistory.com/15 [JUST DO IT PROJECT]




** (glfw) API함수 설명서

http://www.glfw.org/docs/latest/group__window.html 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Texture 개념 

현재는 대개 3D 컴퓨터 그래픽 용어로 사용된다. 업계 종사자들은 흔히 '맵' 이라고 하는데, 언어의 경제성 때문인지 텍스쳐보

다는 맵이라는 단어의 사용 빈도가 높다.[1] 이 업계에서 쓰이는 텍스쳐는 폴리곤의 겉에 씌우는 이미지 파일. 





000

http://www.bswebgl.com/?p=500 참조



glblendFunc함수

http://diehard98.tistory.com/entry/OpenGL-%EB%B8%94%EB%A0%8C%EB%94%A9 참조


함수명 : glBlendFunc

매개변수 :

[1] : source = 덮어서 blending하는 이미지

[2] : destination = 원래 그려져 있는 이미지





'과제 > opengl'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gl text out  (0) 2017.06.14
buffer함수 비우기  (0) 2017.06.13
회전함수 구현  (0) 2017.06.11
연관된 구끼리 서로 연결하기!  (0) 2017.06.11
컴퓨터 그래픽스 질문  (0) 2017.06.11
Posted by 황상두
, |





샌드박스란?

외부 프로그램을 보호된 영역에서 동작시켜 부정된 방식으로 조작되는 것을 방지


쿠쿠 샌드박스과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악성코드를 분석한다.

쿠쿠 샌드박스는 가상머신환경에서 악서코드를 자동화 분석하는 시스템이다.




RNN(recurrent 신경망) recurrent  = 반복되는 , 입력 , hidden state , 출력 등 이있다.

독립적이라기보다 이전 네트윅 메모리를 활용되는 점이 특징이다.


기계학습 중에 RNN모델의 응용판 중 하나인 LSTM을 사용하여 악성코드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LSTM은 위 사진을 참조하면 알겠지만 레이어가 4개이다.

즉 , RNN보다 훨씬 높은 레이어를 기억할 수 있다.


VEH(벡터화된 예외 처리기)를 사용한다.

VEH는 SEH(구조환된 예외 처리기 )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로 동작한다.




쿠쿠샌드박스.pptx



샌드박스 


https://ko.wikipedia.org/wiki/%EC%83%8C%EB%93%9C%EB%B0%95%EC%8A%A4_(%EC%BB%B4%ED%93%A8%ED%84%B0_%EB%B3%B4%EC%95%88)



LSTM

http://colah.github.io/posts/2015-08-Understanding-LSTMs/



RNN

http://aikorea.org/blog/rnn-tutorial-1/

'공부 > 정보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 뉴스 정리  (0) 2017.06.02
메모리 인 퍼징  (0) 2017.03.10
Z3  (0) 2017.02.26
processTracer  (0) 2017.01.10
pintool이란?  (0) 2017.01.10
Posted by 황상두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